전체 글
-
[GCP]Source Repositories클라우드/GCP 2021. 9. 27. 17:25
*책을 참고한 내용들입니다. * Source Repository란? GCP에서 제공하는 비공개 Git Repository다. (얼마전에 깃 공부했는데!! 반갑구나. 조만간 그 때 공부했던 것도 올릴예정) 확장이 가능하며 다른 GCP서비스와 연결하여 빌드, 배포, 디버깅을 할 수 있다. Cloud Build를 사용해 CI/CD환경 구축가능 CI/CD란 : 지속적인 통합,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지속적인 배포이다. Continuous Integration, Continuous Deployment/Delivery의 약자이다. 자세한건 여기 참고 : https://artist-developer.tistory.com/24 깃헙, 빗버켓 레포와 CloudSource레포지토리와 연동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동기화됨. ..
-
[GCP] Cloud Composer클라우드/GCP 2021. 9. 27. 17:04
* 책 참고 Cloud Composer란? 파이프라인을 작성하여 예약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총합 워크플로 관리 서비스이다. 내부적으로는 아파치 에어플로(Apache Airflow)를 기반으로한 서비스이다. 구글 쿠버네티스 엔진을 기반으로 한 배포환경을 가지고 / Cloud SQL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 앱 엔진을 활용하여 Airflow 웹 서버를 호스팅하고 / Stackdriver를 통해 로그를 관리한다. Python을 기반으로 DAG과 Task에 대한 코드를 작성한다. 멀티 클라우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온프레미스와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들과 교차하는 워크플로우 작성가능 _______________________ 개념 정리 __________________________ 쿠버네티스 : 컨테이너의..
-
[GCP]BigQuery카테고리 없음 2021. 9. 27. 15:33
개요 Project : 가장 큰 개념으로 프로젝트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됨. Dataset: RDB(Relative Database)와 같은 개념으로 특정프로젝트에 포함되어 테이블과 뷰에 대한 액세스를 구성하고 제어하는데 사용됨. 하나의 Dataset에는 여러개의 Table을 가질 수 있음 Table : RDB의 Table과 같은 개념 기본 Table : 기본 BigQuery Repository에서 지원되는 테이블 외부 Table : BigQuery 외부 Repository에서 지원되는 테이블 뷰 : SQL쿼리로 정의된 가상테이블 Job : 쿼리, 데이터 로딩, 생성, 삭제 등 작업에 대한 단위 SQL 문법은 오라클에서 사용하던 것과 동일하다 EX) Select product.product_id,..
-
-
[GCP]GCS (Google Cloud Storage)란카테고리 없음 2021. 9. 15. 16:33
*본 내용은 를 바탕으로 공부한 내용입니다* GCS란? GCP의 대표 객체 레파지토리이다. GCS를 사용하면 데이터 양에 관계없이 언제어디서냐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다. AWS의 S3과 유사한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 GCS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둬야할 개념 개념 설명 프로젝트 GCP의 프로젝트와 동일한 개념으로 GCS의 모든데이터는 GCS프로젝트에 속하게된다. 버킷 GCS에 저장하는 모든 데이터는 버킷에 포함되어야한다. * 우리가 아는 폴더와 다르게 버킷안에 버킷을 만들 수 없다. * 버킷은 고유한 이름을 가져야한다. 버킷수는 적고 객체가 많은게 좋다. 객체 버킷에 저장되는 파일들 객체는 '객체데이터'와 '객체 메타데이터' 두 가지의 구성요소를 가진다. *객체데이터 : GCS에 저장되는 일반 파일..
-
[GCP]로드밸런싱카테고리 없음 2021. 9. 15. 16:20
참고문헌 : - 박정운 로드밸런싱이란 ? 한번에 많은 요청으로 트래픽이 증가했을 때 이를 처리할 수 있을만큼 여러대의 VM에 트래픽을 분산해서 부하발생 처리를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싱은 GCP기반으로 움직인다. 또한, 사용자 트래픽 전체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관리형 서비스이다. 로드 밸런싱 가동 준비과정 높은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그만큼 로드밸런싱의 크기를 키우는 과정, GCP는 이 과정이 필요없다. Compute Engined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최대범위까지 확장시켜준다. 애니캐스트란? 클라우드 로드 밸런싱을 사용하면 단일 애니캐스트가 세계 각지의 모든 백엔드 인스턴스의 프론트엔드가 된다. 즉, 한번에 많은 양의 트래픽을 처리가 가능한 다른지역 트래픽으로 우회시켜 즉각적인 ..
-
[GCP]방화벽규칙 설정 디폴트 값카테고리 없음 2021. 9. 14. 17:03
이름 : 내가 설정하고 싶은것 설명 : 내가 적어놓고 싶은것 로그 : 사용안함 네트워크 : default 우선순위 : 1000 트래픽 방향 : 수신 일치 시 작업 : 허용 대상 : 지정된 대상 태그 대상태그 : 네트워크 태그로 지정할것 (아무이름 ㄱㅊ, ex- node-server) 소스필터 : IP범위 소스 IP범위 : 0.0.0.0/0 보조소스 필터 : 없음 프로토콜 및 포트 : 설정하고 싶은 포트번호 >> 인스턴스 생성시 네트쿼킹에 대상태그에 정해줬던 것을 적으면 해당 방화벽이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