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GCP]GCP에서 SQL 생성한 뒤 mysql 워크벤치에서 작업하기카테고리 없음 2021. 10. 21. 14:45
1. GCP SQL 생성 2.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추가버튼을 누른뒤 위 사진처럼 이름은 all , 네트워크는 현 IP주소를 나타내는 0.0.0.0/0으로 설정 3. 다시 오버뷰 화면으로 돌아가서 공개IP주소 복사 4. mysql 워크벤치에서 test connection해서 성공 뜨면 OK누르고 작업시작 4-1. 비밀번호를 모르겠다 싶으면 아래 화면 점 세개 > Change password에서 수정가능
-
프로그램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카테고리 없음 2021. 10. 21. 11:02
프로그램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해당 프로그램을 휴지통으로 보내고, 또 휴지통을 비워서 끝내는게 아니다. 한 번 다운을 받은 순간 굉장히 다양한 곳에 흔적을 남기기 때문에 여러 공간에 퍼져있는 프로그램을 완벽히 지워야한다. 방법 : 제어판 / everything을 통해 삭제한다 1. 제어판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제거 선택 일반 휴지통으로 비우는것처럼 delete 버튼이 먹히지않는다.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제거를 선택해준다. 제어판에서도 굵직한 것들만 보이기 때문에 세세한것 모두 지우기 위해서는 Everything을 통해 확인하는게 좋다. 2. Everything Everything은 파일 탐색 애플리케이션이다. 설치url : https://www.voidtools.com/ko-kr/ voi..
-
[GCP복습] GCS : Google Cloud Storage카테고리 없음 2021. 10. 19. 20:14
GCS의 주요개념 개념 설명 프로젝트 GCP의 프로젝트와 동일한 개념으로 GCS의 모든 데이터는 프로젝트에 속하게 된다. 버킷 GCS에서 저장하는 모든 데이터들은 버킷에 포함되어야한다. 버킷은 폴더나 디렉토리의 개념과 다르게 버킷 안에 또 다른 버킷을 만들 수 없다. 버킷은 라벨을 달 수 있으며, 키-값 형태로 GCP의 다른 리소스와 그룹화할 수 있으며 적용할 수 있는 라벨의 최대 개수는 버킷 당 64개이다. Repository등급 버킷을 생성할 때 저장할 데엍의 특징에 따라서 레포지토리 등급이 나뉘게 된다. Mulit-Regional Storage Regional Storage Nearline Storage Coldline Storage로 구분된다. 객체 버킷에 저장되는 파일 객체 데이터와 객체 메타데..
-
[GCP복습] Cloud Load Balancing & Auto Scaling카테고리 없음 2021. 10. 18. 17:40
로드 밸런싱(부하분산)이란? 한번에 많은 요청으로 트래픽이 증가했으 ㄹ때 이를 처리할 수 있을만큼 여러 대의 VM에 트래픽을 분산해서 보내, 부하 발생시 처리를 하는 기술이다. 클라우드 로드밸런싱은 사용자 트래픽 전체에 적용되어 완전하게 배포되는 소프트웨어 관리형 서비스이다. 다른 로드 밸런싱은 갑자기 높은 부하가 들어왔을때 그것을 받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리 그만한 부하를 일정시간 주어서 로드 밸런싱의 크기를 키워야한다. 이 작업을 '가동 준비과정(pre-warm up) 이라고 하는데, GCP는 이 과정 없이 Compute Engine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최대 범위까지 확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로드 밸런싱을 이용하면 단일 애니캐스트(가장 가까운 기기들간의 기기들간의 1:..
-
GCP 다시보기카테고리 없음 2021. 10. 8. 16:15
클라우드 서비스란? 서버나 스토리지를 구글/아마존/MS와 같은 벤더러부터 빌려서 사용하고 사용한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과거 기존방식의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를 직접 구입하여 데이터센터(IDC)에 입주시켜야했다. 이렇게 되면 초기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설치 및 세팅을 위한 시간이 발생한다. 또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직접 IDC를 방문해서 처리해야했고, 서비스 규모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할 때는 추가 서버를 구입하거나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진 서버는 부채로 남았다. *데이터센터란(IDC)란? 데이터 센터는 엔터프라이즈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실제 시설이다. 구축해야 할 데이터센터의 수와 장소를 판단하는 데 필요한 질문이다. 예를 들어, 맨해튼의 금융서비스 기업은 서비스 정지가 많은 손해를 초래하기 ..
-
[GCP]Cloud Functions카테고리 없음 2021. 10. 8. 10:53
*이 포스트는 책라는 책을 요약 및 참고했습니다* Cloud Functions는 이벤트 기반의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로 AWS의 람다(lambda)와 비슷한 서비스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벤트에 간단한 함수를 작성해서 적용시킬 수 있다. 감시중인 이벤트가 발생하면 트리거된다. 특징 1. 클라우드 서비스 연결 및 확장 - 기존 GCP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펍섭, GCS파일 업로드 등) 2. 이벤트 및 트리거 - 이벤트란 클라우드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 3. 서버리스 실습 1. Cloud Functions에 접속 2. 함수만들기 소스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소스 사용, 다 하면 '배포' 클릭 3. 함수생성완료 4. 이런기능도있다 5. 트리거 생성한 펑션 세부정보를 확인하면 트리거가 있는데, 이걸 클릭하면 아..
-
[전자기기] 마우스 DPI란?카테고리 없음 2021. 10. 5. 16:29
정규직이 되고 장비를 싹 바꿨다! 그 중 마우스도 기존에 쓰던게 고장나서 새로 주문했는데 당시에는 꼼꼼하게 보지 않았던 설명서를 보고 DPI라는 것을 확인했다. DPI란 무엇인가? 내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얼만큼 이동할 것인가라고 이해하면 된다. dots per inch의 약자로 인치당 몇만큼의 도트(픽셀)만큼 이동시킬 것인가라고 이해하면 된다. 나는 DPI두번째 단계로 쓰면 기존에 사용했던 것보다 아주살짝 느린감은 있지만 제일 적당하다. (스톰엑스 버티컬 마우스 기준) 배송받았을 때부터 살짝 더러운데,, 흰색이라 어쩔 수 없는 나의 마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