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npm build / npm run / npm start / npm eject 차이언어/Javascript 2023. 9. 8. 10:24
내가 설정해서 쓰기 나름이긴 하지만, 다른 사람이 어떻게 저장했는지 보는 것도 괜찮은 것 같다. eject의 경우는 또 처음보기도 하고 [리액트] package.json 명령어 npm start, npm run build 스크립트 차이점 package.json 파일에 실행 스크립트를 보면 다음과 같이 start, build, test, eject 4가지 명령이 있습니디. 일반적으로 start는 개발 모드 build는 배포용 빌드라고 알고 있습니다. 리액트(React) 에서 처음 공 code-algo.tistory.com
-
npm build / npm run / npm start / npm eject 차이언어/Javascript 2023. 9. 5. 09:54
package.json에서 관리하는 실행명령어들. 물론 내가 정의하기 나름이긴한데, 리액트에서는 아래처럼 용도를 정하고 사용하는 것 같다. typescript에서는 --watch 플래그를 함께 달아서 수시로 변경될 때마다 start할 수 있도록 해준다. "test":"jest"로 테스트도 하고. [리액트] package.json 명령어 npm start, npm run build 스크립트 차이점 package.json 파일에 실행 스크립트를 보면 다음과 같이 start, build, test, eject 4가지 명령이 있습니디. 일반적으로 start는 개발 모드 build는 배포용 빌드라고 알고 있습니다. 리액트(React) 에서 처음 공 code-algo.tistory.com
-
[typescript]class-validator 에러 처리언어/Javascript 2023. 9. 1. 21:00
NestJS에서 DTO 처리할 때 class-validator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면 유효성 검사가 가능합니다. 유효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에러 처리를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접근 방법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유효성 검사에 실패한 경우에는 예외를 throw하여 에러 처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NestJS에서는 이를 위해 HttpException을 사용하거나 직접 예외를 생성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에러 처리는 주로 컨트롤러나 미들웨어에서 수행됩니다. import { Controller, Post, Body, HttpException, HttpStatus } from '@nestjs/common'; import { CreatePostDto } from ..
-
[에러해결]TypeOrmModule : Access Access denied for user 'username'@'ip' to database 'DB명'데이터베이스 2023. 9. 1. 15:15
mysql 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서버에 올리니 이런 에러가 났었다. 접속 권한과 관련된 에러같은데, 어디서 잡아야할지 감도 안잡혔다. 알고보니 내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유저가 mysql 특정 DB 이용권한이 없어서 그런것. 해결방법 0. plugin이 mysql_native_password인지 확인 Use mysql; SELECT User, Host, Plugin from mysql.user; 1. mysql 접속 mysql -u root -p 2. 현재 접속해있는 ip의 user에게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DB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 show grants for 'username'@'ip'; -- 이때 ip는 반드시 xxx.xxx.xx.xx 일 필요없다. 명으로 와도됨 3. (없다면)..
-
RESTAPI 응답코드 | 각 CRUD의 대표적인 코드 200/201/204/400 의미카테고리 없음 2023. 8. 31. 15:20
HTTP 응답 코드는 다음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GET (조회): 200 OK: 리소스를 성공적으로 반환할 때 사용. 리소스가 존재하고 요청이 성공했을 경우.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 DELETE (삭제): 204 No Content: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며 응답 본문이 없을 때 사용. 삭제 작업이 성공하고 응답 본문이 필요 없을 경우. PUT (수정 또는 업데이트): 200 OK: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업데이트되었을 때 사용. 204 No Content: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지만 응답 본문이 없을 때 사용. 업데이트 작업이 성공하고 응답 본문이 필요 없을 경우.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 CREATE..
-
Swagger annotation 어노테이션 정리언어 2023. 8. 30. 13:36
@Operation : API의 응답결과를 기록하기 위함 @Operation(summary= "API 간단 요약") @Operation(description="API에 대한 상세요구사항 등") ex) @Operation(summary= "Gets customer by ID", description= "Customer must exist") @ApiResponse : 해당 API로 받을 수 있는 응답값 예시 @ApiResponses(value = { @ApiResponse(responseCode = 404, description = "Customer not found")}) @ApiResponses(value = { @ApiResponse(responseCode = "200", descriptio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