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제 2정규형과 제 3정규형의 차이데이터베이스 2023. 7. 7. 14:34
늘.. 헷갈렸던 개념 외우기에는 부분함수종속이 제거된것, 이행함수종속이 제거된 것이라고는 외웠는데 그걸 막상 테이블화해서 보면 뭐가 뭔지 구분이 잘 안갔다. (도부이결다조) 강의를 보면서 해결되었는데 (인프런 백엔드 부트캠프), 종속된 컬럼이 복합키(or PK)에 걸쳐져있으면 2NF PK와 상관 없으면 3NF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왼쪽 테이블을 보면 이름과 나이 컬럼을 따로 빼서 하나의 '회원'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컬럼들은 .PK인 주문번호와 동떨어져있다. 즉, 그렇게 분해되면 3정규형이라는 것. 반면, 오른쪽 테이블을 보면 상품번호와 상품명을 '상품' 테이블로 따로 뺄 수 있는데, 이 경우 상품번호는 주문번호와 함께 하나의 복합키로 위치해있다. 그래서 이렇게 분해한 테이블은 제 2..
-
[워드프레스] https 로 요청이 안되어서 UI가 깨질때카테고리 없음 2023. 7. 5. 13:52
Impreza > Theme Options > Custom Code Code before 에 추가 안되면 아래 에 추가 받아오는 CSS를 강제로 http를 https로 변경하는 것. 사실 왜 몇몇 파일들이 http로 불려오는지 원인은 모르겠고 워드프레스 내부 문제로 보여지는데, 이걸 따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 같아서 위의 메타태그로 해결하는 것. https로 페이지를 뿌려주고 있기 때문에 브라우저 보안상 Secure 로 넘어오지 않는 보여주지 않는 것.
-
why is it a problem to have too many cookies on broswer? Why does it become the cause of 400 error?네트워크 2023. 7. 4. 16:02
Having too many cookies in a browser can lead to several issues, including causing a 400 error. Here's why: 1. **Size limit:** Browsers have a limit on the total size of cookies they can store for a particular domain. When you visit a website, it may set a cookie on your browser to store information. If you accumulate a large number of cookies or the combined size of the cookies exceeds the brow..
-
[워드프레스]화면 깨져서 나올 때 : was loaded over HTTPS, but requested an insecure script 등등 HTTPS에서 HTTP로 불러오는 파일들을 읽지 못할 때워드프레스 2023. 7. 3. 17:27
https://wellsw.tistory.com/34 Mixed content 문제 해결(https 사이트에서 http 사이트 요청 시 발생하는 보안 문제) https 사이트에서 ajax를 사용해서 비동기로 http 사이트에 request를 요청해서 문제가 발생 했습니다. 암호화된 HTTPS 기반의 사이트에서 암호화되지 않은 HTTP 사이트에 요청을 보내서 Mixed content 에러 wellsw.tistory.com html에 해당 코드 삽입 https://velog.io/@shin6949/HTTPS%EC%97%90%EC%84%9C-HTTP-%EC%9A%94%EC%B2%AD-%EB%B8%94%EB%9D%BD-%EC%97%90%EB%9F%AC-%ED%95%B4%EA%B2%B0%ED%95%98%EA%B8..
-
워드프레스 카페24 백업받기워드프레스 2023. 6. 29. 11:10
1.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도구 > 내보내기 > 모두 다운 2. 카페24에서 ftp로 호스팅한 내용 받기 계정관리 > 백업받기/올리기 Db백업 & DATA백업 둘다 받기 >> 백업받기를 누르면 리모트사이트 저기 마스킹한 곳에 주소가 나온다. 3. 파일질라 파일질라에서 1. 호스트 : 스테이징한 도메인 2. 사용자명 : 모르겠으면 cafe24 > 서비스접속정보 > FTP/SSH 아이디 보면 나와있다. 3. 비밀번호 4. 내가 백업데이터를 위치시킬 로컬호스트의 위치를 적으면 된다. *포트 또한 cafe24 > 서비스접속정보 > FTP/SSH 아이디 보면 나와있는 FTP (23번) 사용하면되고, SFTP를 사용한다면 22번을 사용하면 된다. *저기 unable처리된 리모트사이트에는 위에 cafe24 백업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