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GCP]로드밸런싱

개발자국S2 2021. 9. 15. 16:20

참고문헌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뽀개기> - 박정운

 

로드밸런싱이란 ?

한번에 많은 요청으로 트래픽이 증가했을 때 이를 처리할 수 있을만큼 여러대의 VM에 트래픽을 분산해서 부하발생 처리를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싱은 GCP기반으로 움직인다. 또한, 사용자 트래픽 전체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관리형 서비스이다.

 

로드 밸런싱 가동 준비과정

높은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그만큼 로드밸런싱의 크기를 키우는 과정, GCP는 이 과정이 필요없다. Compute Engined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최대범위까지 확장시켜준다.  

 

애니캐스트란?

클라우드 로드 밸런싱을 사용하면 단일 애니캐스트가 세계 각지의 모든 백엔드 인스턴스의 프론트엔드가 된다. 즉, 한번에 많은 양의 트래픽을 처리가 가능한 다른지역 트래픽으로 우회시켜 즉각적인 대규모 트래픽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음.. 감은 오는데 정확한 정의를 보니 뭔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는걸?

https://togll.tistory.com/42

 

[네트워크] 유니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 멀티캐스트 / 애니캐스트 란?

맥주소(MAC address)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Device마다 할당된 물리적 주소를 말합니다. 인터넷이 가능한 장비(PC, 휴대폰 등)들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주소라고 생각하면 어렵지

togll.tistory.com

이걸 보니 이해가 된다. 

 

오토스케일링이란?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서 VM이 자동으로 증감하는 기능. GCP에서는 인스턴스 그룹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CPU사용률에 따라 그룹내의 인스턴스가 추가되거나 삭제된다. 또 로드밸런싱 사용량에 따라 오토스케일링이 발생한다. Stackdriver Monitoring 측정 항목을 기준으로 오토스케일링이 일어나기도한다. 이는, GCP내의 리소스들을 자동으로 혹은 맞춤으로 모니터링하고 로깅해주는 서비스이다. 

 

실습

인스턴스 생성 -> 스냅샷 -> 디스크 -> 이미지 -> 인스턴스 템플릿 -> 인스턴스그룹(지역 A) -> 인스턴스그룹(지역 B)

-> 네트워크 서비스의 부하분산 

 

근데... 인스턴스그룹 만드는 것부터 막혀가지구 ㅠㅠ 잘 안된다.. ㅠㅠ 

반응형